망막전막은 우리 눈에 빛을 받아들이는 신경조직인 망막의 중심부에 위치한 황반 위에 섬유성 막이 발생하여 증식하는 질환입니다. 황반은 망막의 중심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중심 시력을 담당합니다. 망막전막이 있는 경우 희미하게 보이거나 물체가 휘어져 보일 수 있습니다.
눈속을 채우고 있는 유리체는 망막 및 시신경과 붙어있다가 나이가 들수록 서서히 망막으로부터 분리 됩니다. 이 과정에서 망막에 미세한 상처가 생기고, 그
상처가 자연 치유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염증 반응이 황반에 흉터 조직과 비슷한 막을 형성하는 것이 망막전막입니다.
- 시력 저하와 변형시 입니다.
- 망막전막과 황반변성을 비록 증상은 비슷할 수 있지만, 완전히 서로 다른 질환입니다.
- 망막 전문의는 두 가지 질환을 구별하여 진단할 수 있습니다.
- 안정적으로 유지가 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속도의 차이는 있으나 진행합니다.
- 사물이 찌그러져 보이는 변형시나 시력의 감소는 호전되지는 않습니다.
시력 및 안압검사, 안저검사로 진단 할 수 있으며
자세한 검사를 위해서는 빛간섭단층촬영이 필요합니다.
초기에는 경과 관찰을 할 수 있습니다.
진행한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눈 속에 관을 삽입하여 유리체 절제술과 전막 제거술을 시행하게 됩니다. 필요한 경우 백내장 수술을 동시에 하기도 합니다.
조기 수술이 중요 할 수 있으나 시력이 좋은 상태에서 수술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며 수술 후 불편을 감수해야 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수술 후 시력 회복도 서서히 되며 비용이 발생합니다.
드물게 수술 수 안내염이나 망막 박리 등의 합병증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진행하면 할 수록 원래대로 회복이 어렵습니다.
아추 초기인 경우에 는 수술할 필요가 없으나 경과를 관찰하면서 적절한 수술 시기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조은 안과 의료진은 이미 수 천례 이상의 망막 수술 경험이 있고, 수술 장비 및 진단 장비 또한 서울 소재 대학병원 수순의 진단 장비 및 수술 장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조은 안과의 양승재, 조수근 원장은 앞에서 언급한 루센티스 아일리아와 같은 황반변성 치료제 계발시 국제 임상연구부터 참여할 정도로 황반변성에 대한 많은 임상 경험과 노하우를 축적하고 있습니다.
황반원공은 우리 눈에 빛을 받아들이는 신경조직인 망막의 중심부에 위치한 황반에 구멍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증상으로 대부분에서 시력저하가 심하게 나타납니다.
눈속을 채우고 있는 유리체는 망막 및 시신경과 붙어있다가 나이가 들수록 서서히 망막으로부터 분리 됩니다. 이 과정에서 만약 유리체가 황반에 강하게
유착되어 있는 경우, 유리체가 망막에서 떨어지면서 황반 조직 일부분을 뜯어 구멍을 만들게 됩니다.
시력 및 안압검사, 안저검사로 진단 할 수 있으며
자세한 검사를 위해서는 빛간섭단층촬영이 필요합니다.
진단 후 빠른 시일내 수술이 필요합니다. 눈 속에 관을 삽입하여 유리체 절제술과 망막의 내경계막전막 제거 후 가스 주입술을 시행하게 됩니다. 필요한 경우
백내장 수술을 동시에 하기도 합니다. 수술 후 엎드려 있는 자세를 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가스가 원공을 누르면서 막히게 됩니다.
수술 성공률은 황반원의 크기와 기간에 따라 다릅니다.
수술을 통해 황반원공을 치료할 수는 있지만, 그렇다고 시력이 다 회복되는 것은 아닙니다.
황반원공이 오래된 경우 수술을 통해 성공적으로 치료해도 시력이 회복될 가능성은 낮습니다.
일반적으로 3개월 이상의 회복 기간이 필요합니다.
연구에 따르면 많게는 약 10% 정도에서는 수술을 하여도 황반원공이 폐쇄되지 않는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이 경우 재수술을 해볼 수 있으나 반드시 성공하지는 않습니다.
매우 드물게 원공이 막히지 않을 수도 있으며 감염에 의한 안내염과 망막박리, 가스 주입에 의한 안압 상승과 백내장 등이 있습니다.
조은 안과의 양승재, 조수근 원장은 앞에서 언급한 루센티스 아일리아와 같은 황반변성 치료제 계발시 국제 임상연구부터 참여할 정도로 황반변성에 대한 많은 임상 경험과 노하우를 축적하고 있습니다.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은 시력을 담당하는 망막 밑에 혈관조직인 맥락막의 이상에 의해 혈관에서 물이 새어 물이 차고 그로 인해 시력이 떨어지는
질환입니다. 망막과 맥락막 사이에는 망막색소상피라는 층이 있어 맥락막에서 망막 밑으로 물이 새어 나오는 것을 막아주는데, 이러한 망막색소상피에도
문제가 있어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이 발생합니다.
증상으로는 시력 저하와 물제가 작게 보이거나, 선이 굴곡되어 보이는 변형시 등이 있습니다.
시력 및 안압검사, 안저검사로 진단 할 수 있으며 자세한 검사를 위해서는 형광 안저 촬영 검사와 빛간섭단층촬영이 필요합니다.
경과 관찰만으로 호전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3달 이상 지속 되거나 재발하는 경우에서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료는 누출되는 혈관을 막히게 해야 함으로 누출 혈관의 위치와 개수, 누출 정도에 따라서 국소 레이져 치료,광역학 치료 드물게는 눈속 항체 주사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오래된 경우 광수용체의 변화로 망막 하액의 흡수가 이루어 져도 시력 회복이 안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조은 안과 양승재 원장과 조수근 원장은 중심성 장액성 맥락막 병증의 치료에 황반 변성에 사용하는 아일리아 주사 효과를 보는 임상 연구에 참여 했으며 이는
미국 안과 학회에서 우수 연구로 선정되기도 하였습니다.
또한 양승재 원장은 2018년 12월에 열린 아시아 태평양 유리체망막 학술 대회에서 중심성 장액성 맥락망막병증에서 눈속 항체 주사 효과 예후에 따른
환자들의 차이를 발표하기도 하였습니다.
조은 안과의 양승재, 조수근 원장은 앞에서 언급한 루센티스 아일리아와 같은 황반변성 치료제 계발시 국제 임상연구부터 참여할 정도로 황반변성에 대한 많은 임상 경험과 노하우를 축적하고 있습니다.